스가랴 10장 [여호와께서 구원을 약속하시다] 1 봄비가 올 때에 여호와 곧 구름을 일게 하시는 여호와께 비를 구하라 무리에게 소낙비를 내려서 밭의 채소를 각 사람에게 주시리라 2 드라빔들은 허탄한 것을 말하며 복술자는 진실하지 않은 것을 보고 거짓 꿈을 말한즉 그 위로가 헛되므로 백성들이 양 같이 유리하며 목자가 없으므로 곤고를 당하나니 3 내가 목자들에게 노를 발하며 내가 숫염소들을 벌하리라 만군의 여호와가 그 무리 곧 유다 족속을 돌보아 그들을 전쟁의 준마와 같게 하리니 4 모퉁잇돌이 그에게서, 말뚝이 그에게서, 싸우는 활이 그에게서, 권세 잡은 자가 다 일제히 그에게서 나와서 5 싸울 때에 용사 같이 거리의 진흙 중에 원수를 밟을 것이라 여호와가 그들과 함께 한즉 그들이 싸워 말 탄 자들을 부끄럽게 하리라 6 내가 유다 족속을 견고하게 하며 요셉 족속을 구원할지라 내가 그들을 긍휼히 여김으로 그들이 돌아오게 하리니 그들은 내가 내버린 일이 없었음 같이 되리라 나는 그들의 하나님 여호와라 내가 그들에게 들으리라 7 에브라임이 용사 같아서 포도주를 마심 같이 마음이 즐거울 것이요 그들의 자손은 보고 기뻐하며 여호와로 말미암아 마음에 즐거워하리라 8 ○내가 그들을 향하여 휘파람을 불어 그들을 모을 것은 내가 그들을 구속하였음이라 그들이 전에 번성하던 것 같이 번성하리라 9 내가 그들을 여러 백성들 가운데 흩으려니와 그들이 먼 곳에서 나를 기억하고 그들이 살아서 그들의 자녀들과 함께 돌아올지라 10 내가 그들을 애굽 땅에서 돌아오게 하며 그들을 앗수르에서부터 모으며 길르앗 땅과 레바논으로 그들을 이끌어 가리니 그들이 거할 곳이 부족하리라 11 내가 그들이 고난의 바다를 지나갈 때에 바다 물결을 치리니 나일의 깊은 곳이 다 마르겠고 앗수르의 교만이 낮아지겠고 애굽의 규가 없어지리라 12 내가 그들로 나 여호와를 의지하여 견고하게 하리니 그들이 내 이름으로 행하리라 나 여호와의 말이니라 길들여진 크리스천 "이는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생명의 성령의 법이 죄와 사망의 법에서 너를 해방하였음이라" -로마서 8장2절 동물원에 오래 갇혀 있던 동물을 다시 야생으로 돌려보내기 위해서 가르쳐야 할 가장 중요하고 힘든 일은 바로 사냥입니다. 야생성을 잃은 동물은 이미 사냥하는 방법을 잊어 강력한 이빨과 발톱이 있음에도 굶어 죽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처음에는 살아있는 동물을 먹이로 주고, 그다음부터 조금씩 자연환경에 노출시켜 잃었던 야생성을 회복시켜야 합니다. 그러면 반대로 야생동물을 우리에 가두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바로 먹이를 받아먹게 하는 일입니다. 수족관에 돌고래를 가두고 죽은 생선을 주면 처음에는 입도 대지 않습니다. 며칠을 굶어야 겨우 조금씩 먹기 시작하고, 차츰 습관이 되면 죽은 생선을 주는 대로 받아먹게 됩니다. 인간에게 길들여진 것입니다. 사람들은 16세기 종교개혁 이후 분리된 기독교인을 '프로테스탄트'라고 불렀습니다. '저항하는 사람들'이라는 뜻입니다. 당시 크리스천은 잘못된 진리에 대항하고, 길들이려는 세상에 저항하는, 오직 본질을 쫓는 사람들이었습니다. 하지만 그 시대에 비해 편하게 살아갈 수 있는 지금의 크리스천은 어떤 모습일까요? 혹시 세상에 길들여진 동물처럼 편하게 신앙생활을 하고 있지 않습니까? 세상에 길들여지지 않고 주님의 말씀에만 순종하는 살아있는 크리스천이 되십시오. 몸이 힘들고 마음이 불편해도 해야 할 복음의 일을 지금 당장 합시다. "주님, 진리 안에서 성령님의 인도로 주님을 따라 살게 하소서. 아멘!"
[정도일보 김선자 기자] 국가유산청은 조선 후기 괘불도인 '부여 무량사 미륵불 괘불도'를 국가지정문화유산 국보로 지정하고, '대방광불화엄경소 권118', '삼봉선생집 권7', '동국이상국전집 권18~22, 31~41'을 국가지정문화유산 보물로 각각 지정했다. 괘불도는 사찰에서 야외 의식을 거행할 때 내거는 대형 불화로, 압도적 규모와 다양한 도상은 세계 어느 나라의 불화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우리나라만의 독창적인 문화유산이다. 조선 후기에 본격적으로 조성됐던 괘불도는 처음에는 본존이 결가부좌하고 있는 좌상 형식으로 그려지다가 점차 입상 형식으로 바뀌면서 크기도 상대적으로 커졌다. 괘불도는 17세기부터 20세기까지 지속적으로 조성됐으며, 현재 '칠장사 오불회 괘불' 등 7점의 국보와, '죽림사 세존 괘불' 등 55점의 보물을 포함해 현재 전국적으로 약 120여 건이 전하고 있다. 이번의 국보 지정은 1997년 7점의 괘불이 동시에 국보로 지정된 이후 약 30년 만으로, 화기(畵記) 등의 기록에 제작자, 화제(畵題) 등이 명확히 기록되어 있고 학술적 가치가 큰 작품, 동일 유형의 도상 중 가장 선구적이어서 해당 도상 확산에 영향력이 큰 작품, 장황 등 구성 요소가 완전하고, 전하는 과정에서 변형이나 왜곡이 적으며 표현 기법 등 예술성과 제작 기술이 탁월한 작품을 기준으로 했다. 이번에 국보로 지정된 '부여 무량사 미륵불 괘불도(扶餘 無量寺 彌勒佛 掛佛圖)'는 길이가 약 14m에 달하는 초대형 규모로, 머리에 화려한 보관을 쓰고 신체를 아름답게 장식한 모습의 보살형 입상 형식으로 표현됐는데, 이러한 장엄신 괘불의 시작점을 연 작품이라는 점에서 미술사적으로 중요하다. 초대형 작품임에도 불구하고 균형 잡힌 자세와 비례, 적·녹의 강렬한 색채 대비, 밝고 온화한 중간 색조의 조화로운 사용으로 종교화의 숭고함과 장엄함을 효과적으로 구현했다. 이 괘불은 화기를 통해 법경(法冏), 혜윤(慧允), 인학(仁學), 희상(熙尙) 등의 제작 화승과 1627년(조선 인조 5년)이라는 제작 연대를 명확히 알 수 있는데, 기존에 국보로 지정된 다른 괘불도들 보다도 제작 연대가 앞선다. 또한 화기에 ‘미륵(彌勒)’이라는 주존의 명칭을 밝히고 있어, 일찍이 충청 지역에서 유행한 미륵대불 신앙의 전통 속에서 제작된 괘불도임을 알 수 있다. 이후에 제작되는 유사한 도상의 괘불 제작에도 많은 영향을 미쳐 우리나라 괘불도의 확산과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 작품은 규모, 장엄성, 시기성, 상징성, 예술성 등에 있어서 우리나라 괘불도의 대표격이라 할 수 있으므로 국보로 지정하여 보존할 만한 충분한 가치가 있다. 이번에 보물로 지정된 '대방광불화엄경소 권118(大方廣佛華嚴經疏 卷百十八)'은 당의 승려 징관(澄觀, 738∼839년)이 지은 『화엄경수소연의초(華嚴經隨疏演義鈔)』에 대하여 송의 승려 정원(淨源, 1011∼1088년)이 상세하게 해설을 단 『대방광불화엄경소』의 전체 120권 중 권118에 해당하는 불경이다. 『대방광불화엄경소』는 대각국사(大覺國師) 의천(義天, 1055∼1101년)이 고려로 귀국할 때 송의 정원이 한 질을 선물로 주었고, 이에 의천이 항주(杭州)의 각수(刻手)인 엄명(嚴明) 등에게 판각을 부탁하여, 1087년(고려 선종 4년) 3월에 송의 상인 서전(徐戩) 등이 2,900여 경판을 가지고 들어오면서 고려로 전해졌다. 이후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이 경판을 가지고 책을 찍었으나 일본이 여러 차례 경판을 요청해옴에 따라 1424년(조선 세종 6년) 다른 경판들과 함께 일본에 하사한 이후로는 더 이상 인출본을 찾아볼 수 없어 가치가 크다. 고려 말~조선 초에 인쇄된 이 책 끝에 ‘만력30년임인(1602)11월경견인원시봉일웅(萬曆三十年壬寅(1602)十一月敬見印源侍奉一雄)’이라는 기록이 있는데, 2011년 보물로 지정된 『대방광불화엄경소』 권114의 뒷면에도 비슷한 내용이 확인되고 있어, 책을 찍은 후인 1602년(조선 선조 35년)경의 전래 내력을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지표가 된다. 표지는 상수리나무 열매로 물들여 만든 종이인 상지(橡紙)이며 표제는 금니(金泥)로 썼다. 보존 상태도 우수하며 동일한 판본의 『대방광불화엄경소』 가운데 국내에 남은 유일한 부분으로 알려져 있다. 대각국사 의천이 완성하고자 했던 대장경의 주석서 집성 과정과 경판의 후대 전래, 이와 연관된 역사적 사실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매우 귀중한 자료이다. 또한 이 수입 경판을 일본에 하사한 사실을 통해 한·중·일 삼국의 불교 교류 양상을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도 가치가 있다. '삼봉선생집 권7(三峯先生集 卷七)'은 여말선초의 학자이자 문신인 정도전(鄭道傳)의 문집이다. 정도전의 문집은 1397년(조선 태조 6년)에 처음으로 아들 정진(鄭津)이 『삼봉집』이라는 서명으로 간행했는데, 이는 정도전이 평소 정리해두었던 글을 정리해 엮은 것으로 권근(權近)의 서문이 실렸다. 그러나 이 책의 판본은 정도전이 왕자의 난에 연루되어 생을 마감하면서 흩어져 없어졌다. 이후 정도전의 증손인 정문형(鄭文炯)이 경상도관찰사로 재직하던 1465년(세조 11년) 흩어진 초간본(初刊本)을 바탕으로 내용을 보태 『삼봉선생집』이라는 제목으로 안동에서 간행했는데, 이는 중간본(重刊本)으로 불리며 총 7권으로 구성됐다. 이후 정도전의 문집은 정문형이 강원도관찰사로 재직하던 1487년(성종 18년) 강릉에서 다시 『삼봉집』이라는 이름으로 간행되는데 이를 삼간본(三刊本)이라 하며 총 8권으로 되어 있다. 이번에 보물로 지정되는 국립중앙도서관 소장의 『삼봉선생집』은 중간본의 권7에 해당하는데, '불씨잡변(佛氏雜辯)', '심기리편(心氣理篇)' 등의 내용과 함께 정진의 초간본 발문(跋文)과 정문형의 중간본 발문, 간행 관계자 기록이 수록되어 있다. 지정 대상본에만 수록되어 있는 이러한 기록은 『삼봉선생집』의 간행과 전래 과정을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 사료적 가치가 크다. 또한 희소한 조선 초기 문집 가운데 하나라는 점, 현재 전하는 다른 판본과의 비교 검토가 가능하다는 점, 조선 개국공신 정도전이라는 인물의 역사적 중요도 등으로 볼 때 학술적 가치가 높다. '동국이상국전집 권18~22, 31~41(東國李相國全集 卷十八~二十二, 三十一~四十一)'은 고려 중기의 학자이자 관료인 이규보(李奎報, 1168~1241년)의 문집이다. 보물 지정 대상은 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으로, 비록 전집(全集) 41책 가운데 권18~22, 31~41의 16권 4책만이 남은 영본(零本)이지만 현존하는 자료 중에서는 가장 오래되고 희귀한 판본이자 국내에 소장된 자료 중에서 가장 수량이 많고 인쇄 상태도 우수하다. 또한, 불교 문헌의 편찬과 인출이 주류를 이루고 있는 고려시대에, 학자이자 관료인 이규보의 개인 문집이라는 점에서 희소성이 있으며 서지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자료이고 보존 상태도 양호하므로 보물로 지정, 보호할 가치가 충분하다. 처음에는, 이규보의 아들 이함(李涵)이 편집한 것을 바탕으로 1241년(고려 고종 28년) 8월 진양공(晉陽公) 최이(崔怡)의 지시에 따라 41권의 전집(全集)으로 간행에 착수했다. 그러나 도중에 이규보가 생을 마감하자 41권의 전집과 별도로, 빠진 시문을 모아 같은 해 12월에 덧붙여 편집하고, 이어 연보 및 뇌서와 묘지명을 첨부하여 12권을 편찬했다. 하지만 이 책은 오류와 결락 부분이 많아 1251년(고종 38년)에 이규보의 손자 이익배(李益培, 1361~1427년)가 하동군 감무(河東郡監務)로 재직하던 중 대장경의 판각을 끝낸 분사대장도감에서 교정하여 다시 간행했다. 여기에는 이익배가 작성한 발문과 간기가 남아 있는데, 이를 통해 분사대장도감에서 왕의 명을 받들어 이 책을 판각했고, 이익배가 장세후(張世候), 정홍식(井洪湜), 전광재(全光宰) 등과 함께 교감했다는 사실이 확인된다. 국가유산청은 이번에 국보로 지정된 '부여 무량사 미륵불 괘불도' 및 보물로 지정된 '대방광불화엄경소 권118' 등 3건에 대해 해당 지방자치단체, 소유자(관리자) 등과 적극행정의 자세로 협조해 체계적으로 보존·활용해 나갈 계획이다.
[정도일보 정근영 기자] 2025 신한 SOL뱅크 KBO 리그의 열기를 더할 월간 시상이 4개 부문에서 펼쳐진다. ‘2025 신한 SOL뱅크 KBO 리그 월간 MVP’는 KBO와 KBO 리그 타이틀스폰서인 신한은행이 함께 주관해 매월 선정한다. 매달 KBO 리그에서 최고의 활약을 보여준 선수에게 시상하는 월간 MVP는 팬 투표와 한국야구기자회 기자단 투표를 합산해 최종 수상자를 선정한다. 팬 투표는 해당 월 마지막 경기가 종료 된 이후 일정기간 동안 신한은행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신한 SOL뱅크’에서 참여 가능하다. 최종 투표 결과로 선정된 월간 MVP 수상자에게는 상금 300만원과 함께 월간 MVP 기념 트로피가 주어진다. 상금은 지난해 200만원에서 100만원 인상된 금액이다. 또한 유소년 야구 발전을 위해 신한은행의 후원으로 월간 MVP를 수상한 국내 선수의 출신 중학교에 해당 선수 명의로 200만원의 기부금이 전달될 예정이다. KBO 리그의 기록 지표를 기준으로 매달 최우수 투수, 타자를 선정하는 ‘월간 쉘힐릭스플레이어’도 기대되는 시상 부문이다. 한국쉘석유주식회사의 후원을 통해 시상하는 월간 쉘힐릭스플레이어는 KBO 리그 WAR(대체 선수 대비 승리 기여도) 기록을 기준으로 최우수 투수와 타자를 1명씩 선정해 각각 상금 100만원을 수여한다. 퓨처스리그에서 활약중인 입단 3년 이하의 유망주들을 대상으로 시상하는 ‘월간 메디힐 퓨처스 루키상’은 2024 시즌 신설 후 올 시즌에도 이어진다. 퓨처스리그 WAR(대체 선수 대비 승리 기여도)지표를 기준으로 매월 최우수 투수와 타자를 1명씩 선정하며, 수상자에게는 상금 50만원과 메디힐 코스메틱 제품이 부상으로 주어진다. 또한, 2025 시즌부터 새롭게 선보이는 월간 시상으로 KBO 리그 현장에서 영화 같은 명장면을 만들어낸 1인에게 수여하는 ‘월간 CGV 씬-스틸러상’을 신설한다. 이 상은 KBO 리그를 즐기는 또 다른 장소로 거듭나고 있는 CGV의 후원을 통해 올 시즌부터 진행한다. CGV는 2024년부터 KBO 리그 생중계를 통해 영화 같은 순간을 팬들과 함께하고 있으며, 이 순간들을 더욱 오래 기억하고자 선수단을 포함해 리그 관계자, 응원단 등 야구장에서 근무하는 모든 인원이 시상 대상이 된다. 매달 팬 투표를 통해 선정되는 수상자 1인에게는 상금 100만원과 함께 영화와 레스토랑을 동시에 즐길 수 있는 CGV 씨네드쉐프 무비&다이닝 패키지가 수여된다. 팬투표는 CGV 모바일 앱과 홈페이지에서 참여할 수 있다. KBO는 월간 시상을 통해 최고의 활약을 펼친 선수, 미래를 이끌 신예 선수, 기억에 남을 감동의 순간까지 모두 조명하며, 팬들과 함께 KBO 리그의 다채로운 매력을 즐길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갈 계획이다.
[정도일보 고정희 기자] ◆쥐띠: 천고마비의 계절이다. 몸보다는 마음을 살찌우도록 해라. 1948년생, 상황이 안좋으면 잠시 쉬어가는 것도 좋다. 1959년생, 현재 진행하고 있는 일을 바꿀 필요는 없다. 1971년생, 집중과 몰입을 하면 해답이 보인다. 1983년생, 새로운 일이 시작되니 마음의 준비가 필요하다. 1996년생, 조급해도 억지로는 할 수가 없다. ◆소띠: 주변 사람들을 위한 배려가 필요하다. 1949년생, 노력 여하에 따라 힘들었던 상황이 개선될 수 있다. 1961년생, 새로운 계획을 수립하고 낯선 사람들과 만남이 생기겠다. 1973년생, 노래하고 춤추고 술마시는 일이 따른다. 1985년생, 작은 이익에 연연하면 망신 당할 일이 생긴다. 1997년생, 배울 것이 있으면 적극적으로 배워야한다. ◆범띠: 잡다한 일은 미루고 목표대로 움직여라. 1950년생, 마음이 건강해야 일도 잘 풀린다. 헛된 과욕을 버리고 일을 하라. 1962년생, 요령을 피우지 말고 성실히 행하면 얻을 수 있다. 1974년생, 자기 인생은 스스로 책임져라. 1986년생, 자기 장점을 최대한 부각시키는 것이 좋다. 1998년생, 인내심을 갖고 기다리는 지혜를 발휘해라. ◆토끼띠: 한사람이라도 내 편을 만드는 게 중요하다. 1951년생, 아랫사람들로 인해 어려운 상황에 처할 수 있다. 1963년생, 성공이 결실을 이루는 시기이니 마음의 준비가 필요하다. 1975년생, 부지런히 움직이면 득이 생긴다. 1987년생, 주위의 유혹이 따르더라도 본분을 잃지마라. 1999년생, 갈 곳이 없으니 시간만 허비하는구나. ◆용띠: 아직 갈 길이 멀지만 발걸음만은 가볍게 임해라. 1952년생, 가까운 친지의 도움으로 큰 거래가 성사된다. 1964년생, 기다렸던 목표달성이 눈앞에 있다. 1976년생, 가고자 하는 곳에 반가운 사람이 기다리고 있다. 1988년생, 상대방을 설득하는 것이 쉽지 않다. 2000년생, 실수도 반복되면 실력이 되는 것이다. ◆뱀띠: 멀고 험해 보여도 뜻밖의 행운이 찾아온다. 1953년생, 마음의 변화를 억눌러야 한다. 고민은 많지만 하나씩 풀린다. 1965년생, 겉모습과 실상을 구별할 줄 알아야 한다. 1977년생, 상대방과 거리를 두고 보라. 믿는 척만 하고 경계해라. 1989년생, 스스로를 고립시키지 말아야 한다. 2001년생, 칭찬받는 것을 즐거워해라. ◆말띠: 실속없이 몸과 마음이 분주하다. 1954년생, 마음의 걱정이 있어도 의연함을 잃지 말아야 한다. 1966년생, 계획한 일은 한번 더 확인하는 것이 좋다. 1978년생, 마음의 여유가 필요하니 조급함은 버려라. 1990년생, 인생을 길게 보는 것이 좋다. 고통이 따르면 참고 견뎌라. 2002년생, 잘 가고 있는 것을 흔들지마라. ◆양띠: 새로운 진로가 전개될 조짐이 보인다. 움츠린 날개를 펼 시기이다. 1955년생, 멀리서 반가운 소식이 들려온다. 1967년생, 그동안 미뤄지던 계약에 진전이 보인다. 1979년생, 약간의 고전을 겪어도 낙심하지 마라. 1991년생, 친구에게 부탁하기보다는 직접 발 벗고 나서라. 2003년생, 좋은 시작이면 좋은 결과가 따른다. ◆원숭이띠: 윗사람을 공경하라. 큰 복이 따르리라. 1956년생, 너무 신경 쓰지 않아도 바라는 대로 이뤄진다. 1968년생, 장애물이 없으니 좋은 결과가 예상된다. 1980년생, 매사 불안하나 끝내는 이룰 수 있다. 1992년생, 어렵게 성사될 일도 아니다. 자신감을 잃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2004년생, 스스로 눈치보며 기죽을 필요없다. ◆닭띠: 도움을 준 사람에게는 반드시 고마움을 표시해야 한다. 1957년생, 아직 결정된 것이 없으니 신중해야 한다. 1969년생, 급할수록 돌아가야 무사히 넘길 수 있다. 1981년생, 간혹 변칙적인 일을 처리하는 것이 좋을 때도 있다. 1993년생, 자존심보다는 냉철함이 필요한 때이다. 2005년생, 실패나 실수의 교훈을 잊지마라. ◆개띠: 어둠이 걷히고 햇살이 드는 형국이다. 1958년생, 주위에서 공로를 인정 받고 후한 대접을 받는다. 1970년생, 기술로 한판 승부를 걸어 본다면 승산이 있다. 1982년생, 끈기를 갖고 행하면 마침내 성공한다. 1994년생, 기대하지 않았던 곳에서 좋은 소식을 듣겠다. 2006년생, 부담이 줄었다고 안심하지마라. ◆돼지띠: 작은 질병이나 사소한 시비도 소홀하지 말라. 1959년생, 허리나 다리질환에 주의를 요한다. 1971년생, 마음이 밝으면 주위를 밝게 한다. 1983년생, 하는 일에 막힘이 있어도 인내심을 가져라. 1995년생, 하려고하는 용기가 부족하니 다시 한 번 힘을내라. 2007년생, 모난 돌이 정 맞는다라고 했다. 조심해라.
[정도일보 김현섭 기자] 조달청은 4월부터 매월 1회씩, 권역별 거점지역을 방문하여 ‘조달기업과 함께하는 민생현장소통 간담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지난해 임 청장은 전국 11개 시도를 모두 순회하며 현장 방문과 지역기업 간담회, 지역사회 소외계층을 방문하는 릴레이 민생소통 간담회를 개최하고 600여건의 규제과제를 발굴하여 조달정책에 반영한 바 있다. 금년 민생현장소통 '시즌2'는 조달청장이 직접 기업 현장을 방문하여 생산 현장을 점검하고, 1일 공공조달길잡이가 되어 공공조달시장 진출을 희망하는 중소기업 대상 컨설팅도 실시한다. 또한 지역 조달기업과의 현장간담회에서 애로사항·규제리셋과제·제도 개선 사항 등을 청취하고, 일선부서 사기진작을 위한 지방조달청 직원과의 대화도 이어질 예정이다. 24일 첫 행보로 부산지역을 찾은 임기근 조달청장은 부산광역시 강서구에 소재한 공기조화기 제조업체 ㈜서번을 방문하여 현장을 점검하고 “우수제품 범위형 규격 확대 실시와 계약속도 개선, 제값주기 등 기업하기 좋은 환경개선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후, 부산지식산업센터를 방문하여 공공조달 진입을 희망하는 입주기업을 대상으로 공공조달 길잡이 제도를 설명하고 1일 길잡이가 되어 2~3개 기업을 대상으로 1:1 맞춤형 컨설팅 서비스를 체험했다. 임 청장은 참가기업에게 “공공조달길잡이가 일회성 상담 및 컨설팅에 그치지 않고, 공공조달시장 진출에 성공할 때까지 상담내용을 DB화하여 2차 컨설팅 등을 지원하는 등 체계적으로 관리하겠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민생경제 회복 안정을 위한 현장간담회에 참석하여 중소 벤처 혁신기업들이 현장에서 체감하는 어려움을 듣고 다양한 개선 방안을 논의했다. 이 날 간담회에는 관급자재기업 2개사, MAS기업 3개사, 우수기업 5개사, 혁신기업 4개사, 여성기업 3개사, 길잡이를 통한 우수진출기업 1개사 등 18개사가 참여하여 다양한 조달분야에 대한 규제완화를 건의했다. 참가 기업들은 레미콘 아스콘 조합공통품목 2단계경쟁 예외요청, 지역기반 혁신기업의 글로벌 확장을 위한 제도적 지원, 우수 및 혁신제품 확인방법 개선, 혁신제품에 대한 범위치수 도입 활성화 등 다양한 분야에 대한 규제 및 제도 개선 방안 등을 건의했고, 조달청은 각 부서의 적극적인 검토를 통해 개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초점을 맞추겠다고 말했다. 임 청장은 “민생경제 회복 안정을 이끄는 민생조달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한 뒤 “특히, 올해는 조달청 규제리셋 원년으로 조달분야 모든 규정과 지침을 샅샅이 살펴보고 개선하기 위해 전 부서가 현장간담회를 활발하게 추진 중”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이렇게 발굴된 모든 규제는 국민의 관점에서 기업의 입장에서 원점에서 적극 재검토해 경제활력을 뒷받침하는 원동력이 되도록 적극 지원하겠다”밝혔다.
[정도일보 고정희 기자] SK케미칼과 수원시가 시민들을 위한 열린 인문복합문화공간인 ‘수원 지관서가(止觀書架)’를 개관했다. SK케미칼(대표이사 안재현)과 수원시(시장 이재준)는 24일 수원 지관서가의 개관식을 열었다. 수원은 SK그룹의 모태인 선경직물이 있던 곳이다. 지관서가는 시민의 마음 건강과 행복한 삶에 기여하기 위해 마련한 인문복합문화공간 형태의 도서관이다. SK그룹은 울산에 6곳, 안동, 여주, 울진에 각 1곳의 지관서가를 운영 중이고, 수원이 10번째다. ‘지관(止觀)’은 ‘멈추어 바라본다’는 뜻으로 일상의 분주함 속에서 잠시 멈춰 자신과 세상을 되돌아보며 삶의 지혜를 발견하자는 의미를 담고 있다. 수원시평생학습관 공간의 일부를 리모델링해 문을 연 수원 지관서가는 총 740㎡ 규모의 복층 구조다. 전국 10개 지관서가 중 가장 큰 규모다. 1층은 서가와 카페 공간, 2층은 서가 중심의 열람 공간으로 구성됐다. 서가에는 총 900여 권의 서적이 있다. 서가 한편으로 야외 정원을 만들어 기존 평생학습관과 분리된 독립적 공간을 조성했다. 수원 지관서가는 매달 다양한 분야의 지식인과 학자를 초청해 인문학 강연과 독서토론 등 시민 참여형 프로그램을 운영할 예정이다. SK케미칼과 수원시는 지관서가가 모든 세대가 자유롭게 생각을 나누는 열린 인문 공간으로 자리매김하길 기대하고 있다. 이재준 수원시장은 “지관서가가 시민들이 언제든 들러 책을 읽고 인문학을 경험할 수 있는 휴식과 배움의 공간이 되길 바란다”며 “지속해서 운영되는 평생학습관 프로그램과 시너지 효과를 내며 전 세대가 함께하는 지역 문화 명소로 성장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안재현 SK케미칼 대표이사 사장은 “SK의 태동기를 함께하고 그룹 성장의 토대가 된 수원시에 시민들을 위한 지관서가를 개관하게 돼 의미가 깊다”며 “단순 지관서가를 운영하는 것에만 머물지 않고 수원시 등 지역사회에 기여하고, 함께 할 수 있는 다양한 기회를 모색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개관식에는 이재준 수원시장, 안재현 SK케미칼 대표이사 사장, 이재식 수원시의회 의장, (재)플라톤아카데미 최선재 실장 등 지역 문화예술계 인사와 시민 등 100여 명이 참석했다.
[정도일보 김현섭 기자] 구리시는 경기도시장상권진흥원이 주관하는 '2025년 경기도 연대상권 육성·지원사업' 에 선정되어, 구리전통시장과 구리역 골목형상점가의 상권 공동 활성화를 지원한다고 밝혔다. 이 사업은 경기도 내 전통시장 및 상점가(골목형상점가), 골목상권 공동체 중 인접한 2개소 이상을 묶어 경영·마케팅, 환경개선, 안전 관리 방안 등을 지원하는 전통시장 특성화 사업으로, 구리시는 작년에 이어 2년 연속 선정되는 쾌거를 통해 1억원(도비 50%, 시비 50%)을 지원받게 됐다. 구리전통시장과 구리역 골목형상점가는 8호선과 경의중앙선의 더블역세권으로 유동 인구가 많은 구리역에 인접한다는 지리적 특성을 활용하여, 역 출입구에 사인 블록 설치를 통한 인프라 개선과 두 상권의 특성과 장점을 살린 와구리 야시장 등 축제 개최를 통한 공동마케을 통해 상호 보완적인 발전을 꾀할 예정이다. 백경현 구리시장은 "이번 경기도 연대상권 육성·지원사업 선정은 구리시 상권 활성화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구리전통시장의 고유한 매력과 현대적인 감각을 갖춘 구리역 골목형상점가의 강점을 결합하여, 많은 방문객이 찾는 활기찬 구리역 상권으로 거듭나도록 지원에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전했다. 한편, 시는 작년 이 사업을 통해 선정된 남양시장 골목형상점가-신토평먹자거리 골목형상점가-수리단길 골목상권 공동체 연대상권을 작년 9월부터 올해 6월까지 지원하고 있으며, 공동야시장, 공동마케팅, 줄조명(스트링라이트) 등 시설물 설치 등을 통해 해당 상권의 경쟁력을 높이고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
[정도일보 가ᅟᅵᆷ제영 기자] 경기도는 접경지역의 안전하고 쾌적한 주거환경 조성을 위해 접경지역 시군과 협력해 2025년도 빈집 정비사업을 추진한다고 23일 밝혔다. 도는 사전 수요조사를 통해 7개 시군(고양, 파주, 김포, 양주, 포천, 동두천, 연천)에서 신청한 117개 가운데 정비 기준에 맞는 대상지 32개를 최종 선정해 빈집 정비사업을 진행할 방침이다. 선정된 대상지에는 빈집 철거의 경우 개당 2천만 원 한도, 나대지 공공 활용 지원에는 개당 1천만 원 한도로 지원된다. 빈집 문제 해결은 접경지역 주민들의 정주환경 개선의 핵심 과제로 꼽히는 사업이다. 도는 지난 2018년부터 총 41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접경지역 7개 시군 542호 빈집을 정비해 공공주차장, 공원 등 주민들이 활용할 수 있는 공간으로 재탄생시켰다. 성인재 경기도 균형발전담당관은 “빈집 정비사업은 단순히 빈집을 없애는 작업이 아니라, 접경지역 주민들의 복지증진과 함께 지속 가능한 변화를 제공하기 위한 노력의 하나”라며 “가평군의 접경지역 편입을 계기로 빈집 정비사업을 더욱 확대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행정안전부 자료에 따르면 전국의 빈집은 약 13만 2천 호에 달하며, 이 중 절반 이상이 인구 감소 지역에 집중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치된 빈집은 범죄와 안전 문제를 유발할 뿐 아니라 지역 전체의 침체를 가속화하는 요인이 될 수 있어 경기도는 빈집 정비와 활용을 위한 포괄적인 계획 마련에 동참하는 등 중앙부처와 함께 문제 해결을 위해 협력하고 있다.
[정도일보 김현섭 기자] 화성특례시가 취약시간대 소아 경증 환자 진료 안전망 강화를 위해 센트럴아동병원을 달빛어린이병원으로 추가 지정 운영한다고 23일 밝혔다. 달빛어린이병원은 18세 이하 경증 환자들이 평일 야간이나 주말·공휴일에도 응급실이 아닌 일반 의료기관에서 외래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공공 의료 서비스로, 기존에는 베스트아이들병원·동탄성모병원 2개소를 운영했다. 센트럴아동병원 운영시간은 목요일은 오후 11시까지, 주말과 공휴일은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로, 협력 약국으로 지정된 아이사랑약국을 동일한 시간대에 운영해 진료 후 의약품 조제를 원활히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시는 이번 달빛어린이병원 추가 지정이 소아청소년 환자들의 진료 공백을 해소하고 응급실 과밀화 문제를 완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문자 화성시동탄보건소장은 “이번 달빛어린이병원 추가 지정으로 지역 내 소아 진료 사각지대 해소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소아·청소년 맞춤형 의료 서비스 확대와 의료 기반시설 강화에 더욱 힘쓰겠다”고 말했다. 한편, 기존 달빛어린이병원인 베스트아이들병원은 평일 오후 11시까지, 주말과 공휴일 오전 8시 30분부터 오후 10시까지 운영하며, 동탄성모병원은 평일 오후 11시까지, 주말과 공휴일 오전 9시에서 오후 6시까지 변동 없이 운영한다. 협력 약국으로는 각각 윤약국과 동탄플러스약국이 지정돼 있다.
[정도일보 김제영 기자] 경기도내 아파트 등 공동주택에서 발생한 화재는 겨울보다 여름철이 가장 많았으며 계절용기기 화재는 에어컨이 가장 큰 이유라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경기도소방재난본부는 최근 3년간(‘22년~’24년) 도내 공동주택에서 발생한 화재 3,621건을 분석한 결과, 이같은 특징이 나타났다며 본격적인 여름철을 앞두고 에어컨에 대한 사전점검이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조사결과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아파트와 다세대주택, 기숙사 등 공동주택 화재는 전체 주거시설 화재의 55%를 차지하며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공동주택화재의 68%(2,454건)는 주방기기(808건)와 계절용기기(579건), 배선기구(278건) 등 전기기기가 대부분을 차지했다. 이 가운데 계절용기기에서 비롯된 화재 579건 중 에어컨이 192건으로 가장 많은 33.2%를 차지했으며 전기장판·담요류가 121건(20.9%), 열선이 80건(13.8%) 순이었다. 공동주택 화재의 주요 원인은 부주의(44%·1,609건)와 전기적 요인(37%· 1,337건)으로 나타났다. 계절별로는 여름 28%(1,020건), 겨울 26%(948건), 가을 23%(832건), 봄 22%(821건) 순으로 여름에 가장 많은 화재가 발생했다. 에어컨 화재의 85%(163건) 역시 여름철에 발생했다. 이에 경기소방은 본격적인 여름철을 앞두고 실외기 내부 먼지, 누적된 열, 불량 배선 등 에어컨 사전점검을 통해 대형화재를 방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시간대별로 화재 인명피해를 살펴보면 새벽 시간대에 발생하는 화재가 화재 1,000건당 24명의 사망자를 발생시키는 등 다른 시간대에 비해 2~3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파트 화재 사망자 23명 중 87%(20명)가 스프링클러 미설치 건물에서 발생해 소방시설 설치 여부도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경기소방은 이번 분석을 바탕으로 ▲소방시설 미설치 주택 집중 점검 ▲공동주택 관리자 대상 안전교육 확대 ▲새벽 시간대 화재 대응력 강화를 위한 초동대응 훈련 등 다각적인 대응책을 추진할 계획이다. 김재병 경기도소방재난본부장은 “에어컨과 가스레인지처럼 익숙한 전기제품일수록 방심이 가장 큰 위험요인이 된다”며 “경기소방은 사전점검과 예방 중심의 대응체계를 강화하고 있으며, 도민 여러분께서도 본격적으로 여름철이 시작되기 전에 실외기 점검 등 생활 속 실천을 통해 화재를 미연에 방지해달라”고 당부했다.
[정도일보 김현섭 기자] 고양특례시는 기후위기에 대한 주도적 대응을 통해 탄소중립도시로 나아가고 있다.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계획을 바탕으로 온실가스 감축 목표에 따른 다양한 시책을 적극 이행하고, 지속 가능한 실천 모델을 제시해 국제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있다. 이동환 고양특례시장은 “지방정부의 목소리를 높여 다양한 주체들의 노력과 연대를 이끌어 내야 기후위기에 대응할 수 있다”며 “고양시는 공동의 실천이 바탕이 되는 책임있는 글로벌 도시로서 위상을 높여 나가겠다”고 말했다.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계획 수립… 건물·수송 등 부문별 전략 마련 고양시는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중장기 계획을 수립한다. ‘시민과 함께 미래를 바꾸는 탄소중립 고양’을 비전으로 한 ‘제1차 고양시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계획’이 마무리 단계다. 정부와 경기도는 각각 2023년 4월과 2024년 4월, 2018년 대비 온실가스 배출량 40%를 2030년까지 감축하는 것을 목표로 세부 이행 계획을 발표했다. 전국의 기초지자체는 올해 4월까지 기본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시는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법’에 따라 10년 계획 기간 동안 부문별 온실가스 감축사업과 세부 이행 계획을 마련한다. 특히 관리권한 온실가스의 90%가 건물과 수송 부문에서 발생하는 대도시 집중형 배출 특성에 맞춰 주요 대책을 제시한다. 건물 부문은 31개 세부 사업으로 건물 에너지 효율 개선, 에너지 절감 녹색 생활 실천 확대, 미니 수소도시 등 신재생에너지 확대 등을 중점적으로 다룬다. 또 수송 부문은 30개 세부 사업으로 GTX-A, 인천 2호선 등 철도 중심 교통 체계 구축, 친환경차 보급, 대중교통 서비스 개선 등을 골자로 한다. 아울러 폐기물, 농축산, 탄소 흡수원 부문에 대한 세부 사업들도 추진할 계획이다. 지난 2월에는 시민공청회를 열어 의견을 수렴하고, 국민생각함을 활용한 온라인 설문조사도 진행했다. 특히 시민공청회에서 나온 제안에 따라 장항습지 탄소 흡수능 등을 기본계획에 일부 반영했으며 향후 확대 적용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고양시가 수립한 온실가스 감축 세부 사업의 상당수는 시민들의 일상생활과 맞닿아 있다. 창호와 단열재 등을 교체하는 건물에너지 효율 사업, 가정의 전기·가스·수도 등을 절약해 인센티브를 지급받는 탄소중립포인트제, 재활용품을 유가 보상해 주는 자원순환가게 등 시민 참여가 중요한 만큼 적극적으로 사업 홍보를 펼칠 계획이다. 시는 앞서 지난 2019년 건물, 수송, 폐기물, 농축산, 토지, 대응 기반 등 6개 부문, 92개 세부 사업에 대한 온실가스 감축 계획을 수립해 2020년부터 사업별 이행점검을 추진해 왔다. 이를 토대로 고양시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계획이 수립되면 내년부터 이행 점검을 추진하고 개선 방안을 도출해 나갈 방침이다. ‘세계 지방정부 기후총회’ 성료… 기후위기 해법 논의 등 글로벌 협력 강화 지난 14일부터 16일까지 고양시 킨텍스에서는 각국 지방정부가 주도하는 ‘세계 지방정부 기후총회’가 열렸다. 경기도와 이클레이(ICLEI, 지속가능성을 위한 세계지방정부협의회)가 공동 개최했으며 ‘모두를 위한 과학 기반의 녹색 전환(Science-based Green Transition for All)’을 주제로 진행됐다. 이번 총회에는 29개국 82개 도시의 지방정부 관계자와 국제기구, 각 분야 전문가들이 참석해 기후위기 극복을 위한 해결책을 모색했다. 함께 도출한 세계 지방정부 공동선언문은 오는 11월 개최되는 제30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에 공식 전달할 예정이다. 고양시는 총회 공식행사에 앞서 이클레이 세계본부와 지속가능한 도시 전환과 기후행동에 대한 상호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또 인도 케랄라주의 대표 도시인 코치시(Kochi)와 스마트 에너지, 친환경 교통, 시민 참여형 거버넌스 등 공동 관심 분야 협력 방안에 대한 의견을 교환했다. 이후 이클레이 한국집행위원 도시로서 이클레이 정기회의, 동시세션, 부대행사 등에서 지속가능한 스마트 친환경 도시로 전환하기 위한 시의 노력을 공유했다. 특히 동시세션 ‘과학과 혁신 기반의 전환 2 : AI와 데이터’에서는 국토교통부 거점형 스마트시티인 고양시가 추진하고 있는 다양한 정책을 소개했으며 ▲기후위기로 급변하는 기후재난 대응 안전 시스템 ▲교통정보 통제 시스템 ▲수요응답형 대중교통(DRT) ▲자율주행 버스 운영 계획 등 첨단 기술 기반의 도시 혁신 전략을 통해 기후위기에 적극 대응하고 있다는 것을 알렸다. 한편, 고양시는 탄소중립도시 구현을 위해 여러 기관과 다방면으로 협력을 확대하고 있다. 지난해 11월 ‘플라스틱 오염 종식을 위한 글로벌 지방정부 연합(LSNG Coalition)’, 지난 3월 ‘가오슝-이클레이 기후중립과 스마트시티 실천 커뮤니티(ComP) 이니셔티브’ 등에 가입해 글로벌 네트워크 강화에 집중하고 있다. 시는 앞으로도 탄소중립 사회로의 이행과 녹색 성장을 추진하고, 국제사회의 노력에 적극 동참하는 등 기후위기 대응과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할 방침이다. [뉴스출처 : 경기도청 고양시]
[정도일보 김제영 기자] 오산시가 최근 254억 원의 대규모 예산을 투입해 경기도 체육대회를 유치하려는 움직임을 두고, 시민들 사이에서 우려의 목소리가 터져 나오고 있다. 이에 오산시의회 성길용 부의장과 전예슬 의원은 “254억원에 달하는 경기도 체육대회 예산이 현재 고물가, 고금리, 고환율로 어려움을 겪는 오산시민들의 생활 안정에는 외면한 처사”라며, 예산의 우선순위 전면 재고를 촉구하고 나섰다. 두 의원은 "254억 원이면 오산시민 전원에게 1인당 10만 원씩 지급할 수 있는 규모"라며, "시민들의 체감도는 낮고, 사회적 박탈감만 키우는 일회성 행사에 예산을 쏟는 것은 재고되어야 한다"고 비판했다. 이와 함께 이들은 이권재 오산시장이 추진 중인 운동장 랜드마크 조성사업과 관련해 기존 체육시설의 개보수에도 많은 예산이 필요하다는 점을 지적했다. 이에 따라 "이번 체육대회 예산은 사실상 1회성 소모에 그칠 가능성이 높으며, 예산 낭비 우려가 크다"고 강조했다. 성길용 부의장과 전예슬 의원은 “현재 시민들의 경제적 어려움을 고려할 때, 시급성이 떨어지는 보여주기식 행정보다는 시민 생활과 소상공인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정책 추진이 우선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두 의원은 경기도 체육대회 예산 투입에 대한 신중한 재검토를 촉구하는 한편, 오산시민들의 생활 안정을 위한 지역화폐 또는 생활안정자금 지원을 오산시에 강력하게 요구하고 있다. 이들은 오산시에 “어려운 경제 상황 속에서 시민들의 삶을 최우선으로 고려하는 행정력이 절실하다”며, 이번 체육대회 예산 집행을 둘러싼 논의가 오산시 재정 운용의 방향성과 타당성에 대한 사회적 공론으로 확산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번 문제 제기는 오산시 재정 운용 방향과 우선순위에 대한 시민들의 관심을 다시 한번 환기시키며, 체육대회 예산의 사회적 타당성과 효과에 대한 공론화로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스가랴 9장 [이스라엘 이웃 나라들에 대한 하나님의 말씀] 1 여호와의 말씀이 하드락 땅에 내리며 다메섹에 머물리니 사람들과 이스라엘 모든 지파의 눈이 여호와를 우러러봄이니라 2 그 접경한 하맛에도 임하겠고 두로와 시돈에도 임하리니 그들이 매우 지혜로움이니라 3 두로는 자기를 위하여 요새를 건축하며 은을 티끌 같이, 금을 거리의 진흙 같이 쌓았도다 4 주께서 그를 정복하시며 그의 권세를 바다에 쳐넣으시리니 그가 불에 삼켜질지라 5 아스글론이 보고 무서워하며 가사도 심히 아파할 것이며 에그론은 그 소망이 수치가 되므로 역시 그러하리라 가사에는 임금이 끊어질 것이며 아스글론에는 주민이 없을 것이며 6 아스돗에는 잡족이 거주하리라 내가 블레셋 사람의 교만을 끊고 7 그의 입에서 그의 피를, 그의 잇사이에서 그 가증한 것을 제거하리니 그들도 남아서 우리 하나님께로 돌아와서 유다의 한 지도자 같이 되겠고 에그론은 여부스 사람 같이 되리라 8 ○내가 내 집을 둘러 진을 쳐서 적군을 막아 거기 왕래하지 못하게 할 것이라 포학한 자가 다시는 그 지경으로 지나가지 못하리니 이는 내가 눈으로 친히 봄이니라 [구원을 베풀 왕] 9 ○시온의 딸아 크게 기뻐할지어다 예루살렘의 딸아 즐거이 부를지어다 보라 네 왕이 네게 임하시나니 그는 공의로우시며 구원을 베푸시며 겸손하여서 나귀를 타시나니 나귀의 작은 것 곧 나귀 새끼니라 10 내가 에브라임의 병거와 예루살렘의 말을 끊겠고 전쟁하는 활도 끊으리니 그가 이방 사람에게 화평을 전할 것이요 그의 통치는 바다에서 바다까지 이르고 유브라데 강에서 땅 끝까지 이르리라 11 ○또 너로 말할진대 네 언약의 피로 말미암아 내가 네 갇힌 자들을 물 없는 구덩이에서 놓았나니 12 갇혀 있으나 소망을 품은 자들아 너희는 요새로 돌아올지니라 내가 오늘도 이르노라 내가 네게 갑절이나 갚을 것이라 13 내가 유다를 당긴 활로 삼고 에브라임을 끼운 화살로 삼았으니 시온아 내가 네 자식들을 일으켜 헬라 자식들을 치게 하며 너를 용사의 칼과 같게 하리라 14 여호와께서 그들 위에 나타나서 그들의 화살을 번개 같이 쏘아내실 것이며 주 여호와께서 나팔을 불게 하시며 남방 회오리바람을 타고 가실 것이라 15 만군의 여호와께서 그들을 호위하시리니 그들이 원수를 삼키며 물맷돌을 밟을 것이며 그들이 피를 마시고 즐거이 부르기를 술취한 것 같이 할 것인즉 피가 가득한 동이와도 같고 피 묻은 제단 모퉁이와도 같을 것이라 16 이 날에 그들의 하나님 여호와께서 그들을 자기 백성의 양 떼 같이 구원하시리니 그들이 왕관의 보석 같이 여호와의 땅에 빛나리로다 17 그의 형통함과 그의 아름다움이 어찌 그리 큰지 곡식은 청년을, 새 포도주는 처녀를 강건하게 하리라 주님의 열정, 주님의 고난 "유월절 전에 예수께서 자기가 세상을 떠나 아버지께로 돌아가실 때가 이른줄 아시고 세상에 있는 자기 사람들을 사랑하시되 끝까지 사랑하시니라" -요한복음 13장1절 찬송가 '오 거룩하신 주님(새 찬송가 145장, 통합 145장)'은 고난주간에 성도들이 많이 부르는 찬송입니다. '오 거룩하신 주님 그 상하신 머리 조롱과 욕에 싸여 가시관 쓰셨네. 아침 해처럼 밝던 주님의 얼굴이 고통과 치욕으로 창백해지셨네.' 이 찬양은 음악의 아버지 바흐가 작곡한 '마태수난곡'의 일부를 따서 찬송가로 만든 것입니다. 바로크 시대에는 바흐를 비롯한 많은 작곡가들이 주님의 고난을 묵상하는 수난곡을 만들었는데, 이런 노래들로 인해 지금처럼 경건하게 고난주간을 보내는 문화가 시작되었습니다. 수난곡은 'Passion Music'이라고 불리는데 지금은 'Passion'을 '열정'으로 알고 있지만 애초에 '예수님의 고난', 더 정확히는 '십자가 위에서 당하신 예수님의 고난'을 나타내는 단어였습니다. 열정이란 의미는 나중에 추가된 뜻입니다. 'Passion'의 어원은 '고난과 인내'입니다. 열정이 있는 사람은 어떤 고난에도 인내하며 포기하지 않기 때문에 아마도 훗날 열정이라는 뜻을 담게 된 것 같습니다. 예수님이 우리를 위해서 당하신 고난은 우리를 향한 예수님의 열정, 뜨거운 사랑입니다. 나를 위해 모든 것을 내어주신 주님의 고귀한 사랑이 얼마나 크고 위대한지 이 한 주간 더욱 깊이 묵상하십시오. 말씀으로, 찬양으로, 주님의 거룩한 희생을 깊이 묵상합시다. "주님, 사랑의 십자가가 눈과 머리가 아닌, 마음과 영혼으로 깨달아지게 하소서. 아멘!"
[정도일보 김선자 기자] 2025 대한민국 독서대전 개최지인 김포시에서 4월 23일 세계 책의 날을 맞아 김포시 각 공공도서관을 찾은 이용자들에게 장미꽃을 전하는 특별한 이벤트가 열렸다. 시는 유네스코에서 지정한 4월 23일 ‘세계 책의 날’을 맞아 김포시 각 공공도서관에서 책을 대출하는 이용자 선착순 50명에게 장미꽃을 선물했다고 전했다. 이는 책을 사는 사람에게 장미꽃을 선물하는 스페인의 세인트 조지의 날에서 유래한 것으로, 생각지 못한 장미꽃을 선물 받은 도서관 이용자들은 “대출받은 책에서 장미향이 날 것 같다”, “이 장미꽃이 행운을 가지고 올 것 같다”며 색다른 이벤트에 즐거움을 표했다. 또한, 시에서는 공직자들의 책 문화 형성을 위해 추첨을 통해 50명에게 ‘2025 대한민국 독서대전 김포’의 홍보대사인 양희은 씨의 저서 ‘그러라 그래’ 도서를 선물하며 격려했다. 김병수 시장은 “김포시 대한민국 독서 문화를 선도하기 위한 새로운 도전에 나서고 있다. 모든 세대가 책을 통해 소통하고 공감할 수 있도록 선도 도시로 역할에 충실할 것”이라며 “독서대전 본행사 전까지 다양한 행사를 통해 책 읽는 기쁨을 알리는데 적극 나설 계획이다. 김포가 대한민국 독서문화의 중심지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김포시는 도서관법으로 정한 4월 12일 도서관의 날을 맞아, 4월 다양한 독서문화진흥 프로그램을 진행하며, 대한민국 독서대전이 2025년 김포시에서 개최되는 만큼, 명사특강, 김포시 도서관 책 축제, 책 있는 저녁, 독서대전 본행사 등 시민들이 책을 통해 지식과 문화의 즐거움을 함께 나누는 한 해가 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대한민국 독서대전은 김포시민 및 대한민국 국민이 책과 가까워지고 책을 읽는 독자가 되는 계기를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정도일보 정근영 기자] 춘천시와 강원FC가 ACL 홈경기 개최를 추진한다. 춘천시와 강원FC는 23일 춘천시청에서 열린 아시아축구연맹 챔피언스리그(ACL) 홈경기 개최와 관련한 세 번째 실무회의에서 홈경기 개최를 위한 상호 협력을 약속했다. 춘천시와 강원FC는 구단 최초의 ACL 홈경기가 춘천에서 열릴 수 있도록 긴밀히 협의해 나갈 예정이다. 춘천시는 회의에 앞서 ACL 홈경기 개최 의사를 담은 공식 공문을 강원FC에 전달했으며, 강원FC는 이에 대해 감사의 뜻을 밝혔다. ACL 개최지원금과 같이 쟁점이 된 부분들도 일정 부분 합의했다. 춘천시의 지원금 지급 가능 여부가 불투명한 상황에 대하여 강원FC도 공감했으며, 경기장 시설 개선이 필요한 부분에 대해서는 추후 AFC 실사 결과를 바탕으로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협의를 이어 나갈 예정이다. 향후 춘천시와의 K리그 협약 및 춘천 홈경기 개최에 대해서도 강원FC는 구단의 입장에서 최선을 다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춘천시와 강원FC는 이번 합의를 계기로 상호 존중과 신뢰를 바탕으로 강원 축구의 미래를 위한 동반자로서 협력해 나갈 예정이다. 육동한 춘천시장은 “구단주께서 이제라도 공식적인 입장을 표명해주신 점을 다행스럽게 생각한다”며 “춘천시는 강원도민과 춘천시민, 그리고 축구인들의 염원에 부응하기 위해 많은 어려움 속에서도 대승적 결단을 내렸다”고 밝혔다. 이어 “이번 결정을 계기로 강원FC가 진정한 도민의 구단으로 거듭나길 바라며, 춘천시는 앞으로도 축구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