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계의 품격, 함께 늙는 기술ㅣ김한준 박사의 신중년 인생설계 (8)
- 나이 들수록 혼자가 아니라, 함께 배우는 법이 필요하다
퇴직 이후의 인생이 외로워지는 이유는 일터를 떠났기 때문이 아니라, 일과 함께 사람도 떠났기 때문일 것이다. 직장에서 맺은 관계는 대부분 ‘직함’이라는 연결 고리 속에서 유지되어 왔기에, 명함이 사라지는 순간 관계도 함께 희미해진다. 사람들은 종종 퇴직을 ‘휴식의 시작’이라 말하지만, 실제로는 사회적 관계망이 해체되는 출발점이 된다. 새로운 관계를 설계하지 못하면, 마음은 점점 닫히고 언어는 줄어들며, 세상과의 연결선이 끊어진다. “퇴직 후엔 하루 종일 말 한마디 안 하고 지나갈 때가 많다”는 한 퇴직자의 고백은 단순한 외로움이 아니라, 사회적 단절의 경고음이다. 2025년 통계청의 『고령층 사회관계조사』에 따르면 65세 이상 인구의 37.2%가 “최근 일주일간 타인과 거의 대화하지 않았다”고 답했다. 그중 절반은 “직장 동료와의 대화가 유일한 사회적 접촉이었다”고 말했다. 보건복지부의 「중장년 고립·은둔 실태조사」(2025)는 50~64세 인구의 21.5%가 “사회적 관계 단절로 인한 정서적 불안”을 경험한다고 보고했다. 한국의 중장년층은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늙어가고 있지만, 관계망은 가장 빠르게 붕괴될 세대가 될 것이다. 그럼에도 정책의 초점은 여전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