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싸움 없는 분배(分配)하기

 

 

[한기호 칼럼] 서양에서 있었던 이야기로 분배가 얼마나 중요하지를 가치치는 교훈이 있어 소개를 하고자 한다. 전 재산으로 말(馬) 17마리를 가진 부자가 임종에 가까워 학교에 보내지 않아 배움이 없었던 아들 3형제에게 말을 나누어주는 이야기다. 

 

아비의 유언은 첫째 아들은 전체의 2분의 1을 가져가고, 둘째는 전체의 3분의 1을 가져가고, 셋째는 전체의 9분의 1을 가져가라는 유언이었다. 아버지가 돌아가신후 3형제가 모여 유언대로 재산을 나누려 하니 전체의 2분의1은 9마리, 3분의1은 6마리, 9분의1은 2마리가 되었다. 

 

18마리가 되어야 잘 나누어 지는데, 1마리가 모자라 2분의1, 3분의1, 9분의1로 나누어 지지가 않았다. 1마리가 모자라는 것이었다. ​다시 계산해서, 8.5마리, 5.7마리, 1.9마리로 계산해보니 0.9마리가 남았다. 이를두고 3형제가 자기가 한마리를 더 갖겠다며 3년간을 싸웠다.

 

어느 날, 말을 타고 지나가던 신사가 왜 그렇게 싸우느냐고 물으니 아버지 유언대로 말을 나누려니 이렇게 싸우게 되었다고 말했다. "그렇습니까? 그러면 내가 타고가는 이 말을 보탤테니 나누어 가지고 형제들끼리 싸우지 마세요"라고 말하였다. 그렇게 17마리에 1마리를 더하니 18마리가 되었다.

 

​나누기를 시작하였다. 짝수가 되어 나누기가 잘 되었다. 18을 1/2, 1/3, 1/9로 나누니,  9마리, 6마리, 2마리씩을 나누게 되어 형제들의 싸움이 끝이 났다. 그런데 나누고 보니 1마리가 남는 것이었다. 9+6+2를 모두 합해보니 17마리가 되어, 다시 한마리가 남아 신사는 자기가 타고가던 말을 다시 타고가면서, "형제들끼리 싸우지 말고 의(義)좋게 잘 살아 달라"고 부탁하였다고 한다.

 

​배움은 중요하다. 줘도 나눌 줄을 몰라 싸우는 형제들끼리 다투는 모양새가 그렇고, 애매하게 나누어 가지라고 유언한 아버지도 그렇다. 그런데 신사는 보자마자 지혜를 발휘하여 싸움을 끝냈다. 배운다는것은 그만큼 중요한 것이다.

 

올해 103세가 되신 김형석 교수님이 쓰신 엣날책 내용이 생각난다. 김형석 교수님이 중학교 시절에 부자집의 행낭채에 세를 들어 가족들이 사신적이 있었는데, "없는 집에서 애를 학교에 보내니까 저렇게 못산다"며 비웃더라는 것이다. 

 

​또한 세를 놓은 부자집은 복이 들어오라고 대문을 동쪽과 남쪽으로 내놓고 살면서 '학교에 자식을 보내게 되면 돈을 버리게 된다'며 아들 3형제를 학교에 보내지 않았다. 그러자 동네 사람들이 저렇게 부자로 살면서 아들들을 학교에 보내지 않는다고 말들이 많자 큰 아들을 학교에 보냈다고 한다. 

 

하루는 학교에 낼 돈이 있어 큰아들에게 돈을 주었느데, 거슬러 받은 돈이 동전이어서, 가지고 놀다가 그만 교실 마루바닥 틈으로 굴러 들어갔고, 큰아들은 그 동전을 꺼낼 수가 없어 그냥 집으로 돌아와 아버지께 자초지종을 이야기했다고 한다. 

 

그러자 아버지는 그 다음날 장도리를 가지고 학교에 가서 아들 교실에 들어가 마루바닥을 뜯고 동전을 찾았다는 이야기이다. 그리고는 "거봐라! 가르쳐 봤자 돈만 내빈다"며 학교를 그만두게 했다고 한다. 그리고 훗날 3형제는 배움이 부족하여, 하는 일마다 실패하게 되어 결국 못 살게 되었다고 하니, 배움이 얼만큼 중요한가를 깨닫지 않을 수가 없다.

 

지혜는 꼭 학식과 배움에서만 오는 것이 아니다. 경험에서 오는 지혜가 번뜩일 때가 훨씬 많다. 그러나 큰 지혜는 배움이 쌓인 곳에서 나오기 마련이다. 그래서 어렵더라도, 힘들더라도 배워야 하는 이유이다. 

물론, 꼭 학교를 다녀야만 지혜가 생기는것은 아니다. 배움은 독학이나 독서 등를 통해서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다만, 학교를 다니며 선생님이나 교과서, 친구들을 통해서 체험하는 지혜의 넓이와 깊이가 작지 않음을 인지해야 한다.  

 

우리나라는 교육열 세계 최고의 국가이다. 그리고 분배의 법칙은 자연수의 덧셈과 곱셈에서 2☓(3+4)=2☓3+2☓4와 같이, 두 연산에 대해 전개하여 계산한 값이 전개하기 전의 값과 같은 성질을 말한다. 싸움 없는 분배란 결국 누구에게나 알기 쉽고 타당한 분배의 형평성과 타당성이 아닐까 싶다.